top of page

(2023-1) A Global Forum to Put People at the Centre of the Post-COVID-19 Recovery

Price

Duration

PARTNERSHIP

1. 빈곤퇴치
5. 성평등
16. 평화, 인권, 민주주의
17. 지구촌 협력, 정책일관성

Team A

박숨댕

작가 소개

​기사 발행 일자

2022-03-04

번역 일자

2023-04-08

Guy Ryder

Guy Ryde는 국제노동기구(ILO)의 사무 총장입니다.

​번역본

From 22 to 24 February 2022,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held a virtual Global Forum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discuss concrete actions to put the millions of people who have been deeply impacted by this crisis at the centre of the recovery.

국제노동기구(ILO)는 2022년 2월 22일부터 24일까지 가상 글로벌 포럼을 개최하여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을 강화하고 이번 위기로 깊은 충격을 받은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회복의 중심에 두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논의했습니다.

 


The high-level Global Forum for a Human-centred Recovery brought together Heads of State and Government, head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and employers’ and workers’ leaders from around the world. It examined actions and investments needed to promote decent jobs and inclusive economic growth, universal social protection, sustainable enterprises, and a just transition towards a carbon-neutral global economy. In short, the Global Forum laid the foundations of a plan to build a more inclusive and sustainable future. This action followed the adoption at the June 2021 International Labour Conference of the Global Call to Action for a human-centred recovery that is inclusive, sustainable and resilient.

‘인간 중심의 회복’을 위한 고위급 글로벌 포럼에는 전 세계 국가 및 정부의 수장, 국제기구 및 다자개발은행의 수장, 고용주 및 근로자의 리더들이 한데 모였습니다. 양질의 일자리와 포괄적 경제 성장, 보편적인 사회적 보호, 지속 가능한 기업, 그리고 탄소 중립을 갖춘 세계 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조치와 투자를 조사했습니다. 요컨대, 글로벌 포럼은 보다 포용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건설하기 위한 계획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이 조치는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하며 탄력적인 ‘사람 중심 회복’을 위한 글로벌 행동 촉구에 대한 2021년 6월 국제 노동 회의의 채택을 따른 것입니다.



The COVID-19 pandemic has devastated the world of work: our latest estimates project a deficit in hours worked globally equivalent to 52 million full-time jobs relative to the fourth quarter of 2019, our pre-pandemic benchmark. The crisis has brought new challenges and exposed and crystalized existing ones, such as inequality and poverty. The outlook remains fragile and the path to recovery is slow and uncertain. The losses will be far from recovered even in 2022. Much will still depend on how the pandemic evolves.

COVID-19 팬데믹은 일자리 분야를 황폐화시켰습니다: 우리의 최근 추정치는 팬데믹 이전의 기준점인 2019년 4분기와 비교하여 전 세계적으로 5200만개의 정규직 일자리와 맞먹는 노동시간의 적자를 예상합니다. 그 위기는 새로운 도전들뿐 아니라 공공연하고 구체화된 불평등이나 빈곤 같은 기존의 어려움을 가져왔습니다. 그 전망은 여전히 취약하고 회복 경로는 느리고 불확실합니다. 손실은 2022년에도 회복되지 못할 것입니다. 여전히 많은 것은 전염병이 어떻게 진화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To tackle this crisis, we need to act globally at the international level with a human-centred focus. In this respect, the Global Forum provided an opportunity to advance a more networked, inclusive and effective form of multilateralism that, in the words of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António Guterres, “draws together existing institutional capacities, overcoming fragmentation to ensure all are working together towards a common goal.” In the current context, that goal is to increase the coherence of the international response to the profoundly unequal nature of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people.

이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인간 중심적인 초점으로 국제적 차원에서 전 세계적으로 행동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글로벌 포럼은 보다 연결되고 포괄적이며 효과적인 형태의 다자주의를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António Guterres 유엔 사무총장은 “이 포럼은 모두가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일할 수 있도록 분열을 극복하며 기존의 제도적 역량을 한 데 끌어 모은다.” 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상황에선, 그 목표는 COVID-19 팬데믹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극도로 불평등한 성향에 대한 국제적 대응의 일관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As often happens in a crisis, the most vulnerable suffered more than others: those working in the informal economy—6 out of 10 working people in the world—who lost their incomes and livelihoods without any form of social protection; the low-paid and less-skilled who lost their jobs and did not have the option to continue their work from home; women who worked in the sectors most affected by the pandemic and had to take care of their families; and young people, faced with an almost impossibl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with even fewer jobs available than before the crisis. We need to put them all at the centre of the recovery.

위기 상황에서 자주 발생하는 것처럼, 가장 취약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고통을 겪었습니다 : 비공식적 경제에 종사하는 사람들 (전 세계 노동자 10명 중 6명)은 어떤 형태의 사회적 보호도 없이 그들의 소득과 생계를 잃었습니다. 일자리를 잃고 집에서 일을 계속할 수 있는 선택권이 없는 저임금 및 비숙련 노동자들, 전염병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문에서 일하고 가족을 돌봐야만 하는 여성, 그리고 위기 이전보다 훨씬 적은 일자리로 인해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전환이 거의 불가능한 상황에 직면한 젊은이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 모두를 회복의 중심에 두어야 합니다.



We also need to address a worrying “great divergence” in recovery trends that is deepening inequalities within and among countries and weakening the economic, financial and social fabric of almost every nation, regardless of development status. This damage is likely to take years to repair, with potential long-term consequences for labour force participation, household incomes and social and political cohesion.

우리는 또한 국가 내 및 국가 간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개발 상태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국가의 경제적, 재정적, 사회적 구조를 약화시키는 회복 경향성의 우려되는 ‘큰 차이’를 해결해야합니다. 이 위험은 노동력 참여, 가정 소득 및 사회적, 정치적 결속력에 잠재적인 장기적 결과와 함께 복구하는 데 수 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At ILO, our task is to ensure that the world of work emerges from this unprecedented crisis not weakened but strengthened. There can be no real recovery from this pandemic without a broad-based labour market recovery. And to be sustainable, this recovery must be based on the principles of decent work—including health and safety, equity, social protection and social dialogue. We need to find the tools and the policies that will ensure that no one is left behind. This is what the high-level Global Forum for a Human-centred Recovery was all about.

ILO에서 우리의 임무는 노동계가 전례 없는 위기에서 약화되는 것이 아니라 강화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광범위한 노동 시장 회복 없이는 이 팬데믹으로부터의 진정한 회복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회복이 건강과 안전, 형평성, 사회적 보호 및 사회적 대화를 포함한 양질의 일자리 원칙을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우리는 아무도 뒤처지지 않도록 하는 수단과 정책을 찾아야 합니다. 이것이 인간 중심 회복을 위한 고위급 글로벌 포럼의 전부입니다.



A key issue for discussion was how to implement the Global Accelerator on Jobs and Social Protection for a Just Transition, launched by the Secretary-General during the General Assembly in September 2021. The goals of this proposal are ambitious: generate the investments and resources required to create at least 400 million new jobs, including in the green, digital and care economies; extend social protection floors to the more than 50 per cent of the global population without any access to social protection; and scale up climate action for jobs to accelerate progress towards a carbon-neutral global economy.

논의의 핵심 문제는 2021년 9월 총회에서 사무총장에 의해 시작된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일자리 및 사회적 보호에 관한 세계적 촉진제를 구현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이 제안의 목표는 야심적입니다 : 녹색, 디지털 및 돌봄 경제를 포함하여 최소 400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필요한 투자와 자원들을 만들어내어야 합니다 : 사회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전 세계 인구의 50% 이상을 사회 보호 계층으로 확대해야 합니다 : 그리고 탄소 중립적 세계 경제를 향한 진전을 가속화하는 일자리에 대한 기후 행동의 규모를 키워야 합니다.



Instead of reverting to our previous models as we move towards recovery, let us examine how we can do this in a new direction. We must aim to build back better so that our new systems are safer, fairer and more sustainable than before the pandemic—and more effective in cushioning the consequences of future crises on people around the globe. This will require global solidarity and an unrelenting commitment to protect everyone. We are only as strong as the most vulnerable among us.

회복을 향해 나아갈 때 이전 모델로 돌아가는 대신, 새로운 방향으로 이를 수행 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해봅시다. 우리는 새로운 체계들이 팬데믹 이전보다 더 안전하고 공정하며 지속 가능하며 전 세계 사람들에게 미치는 미래 위기의 결과를 완화하는 데 더 효과적일 수 있도록, 더 나은 재건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 세계적인 연대와 모든 사람을 보호하려는 끊임없는 헌신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우리 중 가장 취약한 사람들만큼 강합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