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1) IPCC Report on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 Key Takeaways
Price
Duration
PLANET
6. 깨끗한 물과 위생
7. 깨끗한 에너지
12.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13. 기후변화와 대응
14. 해양생태계 보존
15. 육상생태계 보존
Team C
최다현
작가 소개
기사 발행 일자
번역 일자
2023-03-25
United Nation
번역본
On 28 February 2022,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released a major report on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 packed with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 planet, its ecosystems and habitats as well as an overview of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associated with the growing climate risks seen around the world.
2022년 2월 28일,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전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기후 위험과 관련된 도전, 해결책의 개요뿐만 아니라 지구의 상태, 생태계 및 서식지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까지 첨부된 영향과 적용, 취약성에 대한 주요 보고서를 공개했다.
Here’s our guide to the report - looking at the different impacts around the world, the ecosystems and communities that are most vulnerable, and why adaptation matters now more than ever - through the lens of the scientists who contributed to the report.
여기 전 세계적으로 미치는 다른 영향들, 가장 취약한 생태계와 공동체들, 그리고 왜 적응이 지금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지를 살펴보는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에 기여한 과학자들의 관점이 반영된 안내가 있습니다.
Cascading and compounding effects
연속, 합성 효과
The science is crystal clear.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in frequency and intensity around the world, particularly life-threatening heatwaves, floods, storms and droughts.
과학은 매우 명확하다. 기후 변화의 영향은 특히 삶을 위협하는 열파와 홍수, 폭풍, 가뭄에 있어 세계적으로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Recent data shows that some of these events are happening simultaneously in one place, with rippling effects leading to further and longer-term impacts such as food insecurity, entrenched poverty and economic losses.
최근 데이터는 이러한 사건 중 일부가 식량 불안정, 견고한 빈곤, 그리고 경제적 손실과 같은 더 확장되고 장기적인 영향을 이끄는 파급 효과와 함께 한 장소에서 동시에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We're seeing what we call cascading and compounding impacts. For example, the fires in the black summer in Australia, followed by floods and other extreme events. This is particularly worrying… and we expect these impacts to increase with further global warming,” says Kathryn Bowen (lead author).
“우리는 우리가 연속적, 복합적 효과라 불렀던 것을 보고있다. 그 예시로 호주의 검은 여름에 발생한 화재는 홍수와 다른 극심한 재난을 야기했습니다. 이것은 특히 걱정되는 문제로, 우리는 이런 영향들이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는 동안 심화될 것이라 예상합니다.”라고 주작가인 케터리 보웬은 말했다.
From Australia to Africa, from mountains to the deep sea,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widespread and varied, affecting up to 3.6 billion people today who are considered to be living in climate hotspots across the globe. That’s nearly half the world’s population.
호주에서 아프리카, 산에서 심해까지, 기후변화의 영향은 광범위하고 다각화되어있으며, 오늘날 전세계 기후변화의 주요지역에 살고 있다 간주되는 36억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건 거의 전 세계 인구 수의 반에 해당하는 숫자입니다.
Vulnerability: Climate hotspots
취약성: 기후변화 주요지역
Across Africa, agricultural productivity has declined by 34 per cent since 1961 due to climate change, more than in any other region. Moreover, by 2030, up to 116 million people in Africa could be exposed to sea-level rise.
In Asia, increasing floods, droughts and heat stress are expected to have adverse impacts on food availability and prices. Asian cities like those in India, that are already feeling the heat, will be home to 600 million people in the next 15 years - that’s twice the size of the United States, says Anjal Prakash (lead author).
아프리카를 가로질러 농업 생산성은 다른 어떠한 지역보다 더 기후변화로 인해 1961년 이후 34% 감소해왔다. 게다가 2030년에는 아프리카에 거주하는 최대 1억 1600명이 해수면 상승에 노출될 수 있다.
아시아에선, 홍수, 가뭄, 폭염의 증가는 식량 가용성과 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추정됩니다. 이미 열기에 노출되어있는 인도와 같은 아시아의 도시들은 향후 미국 인구의 2배인 6억명의 인구가 거주할 것이라 주저자인 안잘 프라카시가 말했다.
“Cities in India are experiencing more heat stress, urban floods and other climate induced disasters such as cyclones. The cities have to be ready to face the new challenges and protect its people from the climate hazards.”
“인도의 도시들은 더욱이 폭염, 도심 홍수 그리고 사이클론 같은 기후로 인해 유발되는 재난들을 경험하고 있다. 그 도시들은 새로운 문제에 직면할 준비가 되어야 하며, 기후 위험으로부터 그 도시의 시민을 지켜야만 한다.”
“Globally, glaciers are melting at an unprecedented rate, including in the Himalayas,” says Aditi Mukherji (coordinating lead author) adding that local communities who depend on the glaciers are increasingly affected, “even though these communities themselves are the least responsible for climate change.”
“국제적으로, 빙하가 히말라야를 포함하여 예상치 못한 비율로 녹고 있다.” 협력 주 저자인 아디티 무케르지는 이 빙하에 의지하고 있는 지역 공동체가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 덧붙였다.“비록 이번 공동체 자체가 기후변화에 책임이 가장 적을지라도…”
Similarly, the Arctic is experiencing “some of the greatest climate change impacts of our time,” says Sherilee Harper (lead author). “Our report shows how climate change will make the Arctic look and feel profoundly different by the year 2050.”
유사하게, “북극은 이 시대 가장 거대한 기후 변화의 영향을 경험하고 있다.” 주저자인 셰리 하퍼가 말한다. “우리의 보고서는 기후 변화가 어떻게 2050년까지 북극의 모습과 느낌을 완전히 다르게 만들 것임을 보여준다."
Terrestrial ecosystems like the Arctic permafrost help to remove carbon from the atmosphere. But as the permafrost thaws due to warming, the ecosystem shifts from being a carbon-sink to a carbon-source. Currently, the polar region is warming more than twice as fast as the global average.
북극의 영구동토층같이 지상 생태계는 대기의 탄소를 제거하는 도움을 준다. 하지만, 영구동토층이 온난화로 녹으면서, 이 생태계는 탄소 흡수원에서 탄소 배출원으로 바뀐다. 현재, 극지방은 지구 평균의 2배 이상 빠르게 따뜻해지고 있다.
The ocean, the world’s largest carbon-sink, is experiencing longer lasting heatwaves that are bleaching and destroying coral reefs, hurting marine life and seabirds, and leaving cascading impacts on coastal communities and biodiversity.
세계의 가장 큰 탄소 흡수원인 바다는 산호초의 표백과 파괴, 해양 생물과 바다새의 고통, 해안선 공동체 해양 다양성에 연속적인 영향의 방치로 인해 더욱 오랫동안 열파를 겪고 있다.
“The number of days that could be classified as marine heatwaves has increased more than 50 per cent in the past century,” says Simon Donner (lead author), pointing to the devastating impact on marine life which have “fewer places they can go to escape the heat.”
“해양 열파로 분류될 수 있는 날들의 수가 지난 세기 동안 50% 이상 증가해왔다.”라고 주저자인 사이먼 도너는 열기로부터 피할 장소가 거의 없는 해양 생태에 끼친 파괴적 영향을 지적하며 말한다.
Small islands and coastal communities continue to bear the brunt - with intensifying marine heatwaves, rising sea-levels, coast erosion and flooding. In very low-lying places, extreme seal level events, which used to occur once a century, will happen more frequently by 2050.
작은 섬들과 해안선 공동체는 해양 열파 강화, 해수면 상승, 해안선 파괴와 홍수로 인해 타격을 입고 있다. 지대가 낮은 지역의 경우 한 세기에 한번 발생하던 해수면이 극도로 높아진 사건이 2050까지 빈번히 발생할 것이다.
“So according to the report, the sea-level rise will cause small islands like the Maldives to disappear and go underneath the sea,” warns Mahmood Riyaz (lead author). Despite the challenges, Maldivians “are very determined to stay, save and adapt to climate change until the very last breath,” he adds.
“보고서에 따르면, 해수면의 상승은 몰디브 같은 작은 섬들을 사라지거나 바다 밑으로 가라앉게 할 것이다.” 라고 주저자인 마흐무드 리야스는 경고한다.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몰디브인들은 "마지막 숨을 거두는 순간까지 머물고, 구하며, 기후변화에 적응하기로 결심했다." 라고 그는 덧붙였다
Uneven progress on adaptation
평탄하지는 않은 적응 과정
But how do we cope with these deeply disturbing trends? Science, technology and solutions exist. What is needed is adequate funding, technology transfer, political commitment and meaningful partnerships that can lead to more effective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emissions reductions.
하지만 우리가 이런 매우 불안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을까? 과학, 기술 그리고 해결책은 존재한다. 필요한 것은 충분한 자금과 기술 이전, 정치적인 약속 그리고 더욱 효과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한 적응과 배기 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의미있는 협력이다.
Today, despite the mounting risks and losses, progress on adaptation is uneven and there are increasing gaps between action taken and what is needed to deal with the increasing risks, says the report. The gaps are particularly large for low-income communities. For example, in cities, the gap is larger for the poorest 20 percent of the population than for the wealthiest 20 percent.
오늘날, 증가하는 위험과 손실에도 불구하고, 적응의 과정은 원활하지 않다 또한, 취해진 조치와 증가하는 위험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것 사이에 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보고서는 말합니다. 이런 격차는 저소득 공동체에서 특히 큰 차이를 보입니다. 그 예시로, 도시에서의 격차는 부유한 20%의 인구보다 가난한 20%의 인구의 격차가 더 크다.
“As global warming progresses further, even more finance for adaptation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says Mark New (coordinating lead author). “It's very hard for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the most vulnerable, to access financial support for local adaptation. One estimate for developing countries suggests that only about 10 to 15 percent of adaptation finance targets the most vulnerable people.”
“지구온난화가 심화될수록, 적응에 위한 더 많은 재정이 미래에 필요할 것이다.”라고 협력 주저자인 마크 뉴는 말한다. “지역 공동체 특히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 지역 적응을 위해 재정적 지원을 진행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이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한 추정치는 적응 자금의 약 10~15%의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밝힌다.”
In 2009, developed countries committed to $100 billion a year to support climate a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by 2020. But they have fallen short, leaving climate impacts to outpace the world’s efforts to adapt to them. In the meantime, recent estimates show that current adaptation costs for developing countries are $70 billion a year, and could rise to as much as $300 billion a year by 2030.
2009년 선진국은 2020년까지 개발도상국의 기후 활동에 연간 1,000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하지만, 그들은 기후변화가 세계의 노력이 그것들에 적응하도록 앞지르게 두며 그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한편, 최근 추정치는 개발도상국을 위한 현재 적응 비용이 연간 700억 달러이며 2030년까지 연간 3000억 달러까지 증가할 수 있다 밝혔다.
Moreover, investing in adaptation now would help the world avoid higher investments in the future because the potential benefits of adaptation outweigh their costs in the long term.
게다가, 적응에 대한 투자는 현재 세계가 미래에 더 많은 투자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적응의 잠재적 이점이 비용보다 크기 때문이다.
Nature’s untapped potential
자연의 미개척된 잠재력
There is increasing evidence that diverse and healthy ecosystems and rich biodiversity underpin human survival, regulating the climate, reducing the risks, and improving people’s lives. But only if we stop diminishing nature’s contributions to human well-being.
다양하고 건강한 생태계와 풍부한 생물 다양성이 인간의 생존, 기후 통제, 위험 감소, 그리고 사람들의 삶을 개선하는 것을 뒷받침한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사람들의 삶을 개선한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우리가 인간의 복지에 대한 자연의 기여를 줄이는 것을 멈출 때만 가능하다.
“Nature offers significant untapped potential to reduce climate risks, deal with its causes and improve people's lives and livelihoods. However, nature is also under significant pressure from biodiversity loss and ecological degradation in both rural and urban areas,” says Timon McPhearson (lead author).
“자연은 기후 위험을 줄이고 그 원인을 해결하며 사람들의 삶과 생계를 개선할 수 있는 상당한 미개척된 잠재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자연은 농촌과 도시 지역 둘 다 에서 생물 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파괴로 인해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다.”라고 주 저자인 티몬 맥피어스는 말한다.
The report identifies two combined sets of actions to reduce climate risks sustainably and achieve resilience - reduce human-induced greenhouse gas emissions drastically and transform our way of life fundamentally. “The essential message of this report is one of hope,” says Rupa Mukerji. “We have a narrow window of opportunity, and they would still help us to deal with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So there's a sense of urgency, but also hope and optimism.”
이 보고서는 기후 위험을 지속적으로 줄이고 탄력성을 달성하기 위해 두 가지가 결합된 행동 강령을 밝힙니다.- 인간이 유발한 온실 가스 배출량을 대폭 줄이고 삶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루파 무케르지는 “이 보고서의 핵심 메시지는 희망 중 하나이다. “우리에게 기회의 창은 좁지만 이는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처하는 데 여전히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서 긴박감이 있지만 희망과 낙관도 있다.”
번역 소감= 기후 변화 주원인인 자원과 그 사용을 친환경적으로 바꾸기 위해 개도국의 적극적인 참여와 선진국의 금전과 기술 이전, 국제 사회의 감시의 중요성을 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