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2023-1) Let’s Recommit to Protecting Students, Educators and Schools from Attack

Price

Duration

PEOPLE

01. 빈곤 퇴치, 03. 건강과 웰빙, 04. 양질의 교육, 10. 불평등 감소, 11.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

Team B

예림

작가 소개

​기사 발행 일자

2022-09-08

번역 일자

2023-03-11

Jerome Marston

Jerome Marston 박사는 ‘무력으로부터의 교육권 보호 연대’(GCPEA)의 선임연구원이다.

​번역본

In 2020 and 2021, an average of six attacks on education occurred around the world each day, as reported in Education Under Attack 2022, a publication issued by the Global Coalition to Protect Education from Attack (GCPEA). These widespread attacks caused injuries, damage and even death, and they prevented students from receiving an education.   

‘무력으로부터의 교육권 보호 연대’에서 발행한 ‘공격 하의 교육(Education Under Attack 2022)’ 보고서에 기록된 바와 같이, 전세계적으로 매일 평균 6건의 교육에 대한 공격이 발생한다. 이렇게 광범위하게 발생한 공격은 부상과 피해 그리고 심지어 죽음까지 초래했으며, 학생들이 교육을 받는 것을 방해했다.

During armed conflicts, government armed forces and non-State armed groups bomb and burn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kill, injure, rape, abduct, arbitrarily arrest and recruit students and educators at or near educational institutions. Armed forces and groups also use schools and universities for military purposes, including as bases, firing positions and detention centres.

무력갈등 속에, 정부 군대와 비정부 군대는 학교와 대학을 폭파하고 불태우며 교수자와 학생들을 징집해 교육시설 인근에서 살인, 상해, 강간, 유괴, 임의체포 등을 저질렀다. 무장한 세력과 군대들은 학교와 대학을 베이스, 사격장과 구치소 등의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Today we observe the third International Day to Protect Education from Attack. The Day brings attention to the million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living in conflict-affected contexts, unable to access education. It also calls for the safeguarding of schools, students and educators. In 2020, Qatar and 62 co-sponsors presented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74/275 establishing this important observance.

오늘 우리는 세번째 ‘세계교육 보호의 날’을 맞이하였다. 이 날은 갈등 영향 지역에서 살고 있어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수만명의 어린이들과 젊은이들에게 주목하는 날이다. 이것은 학교, 학생, 교수자에 대한 보호라고도 불린다. 2020년에는 카타르와 62개의 공동발제자들이 유엔 총회 결의안 74/275를 제시하여 중요한 준수사항을 확립했다.

GCPEA, the United Nations system and our partners have taken important steps to safeguard education in armed conflict, including by adopting significant United Nations resolutions and encouraging engagement with the Safe Schools Declaration, now endorsed by 114 United Nations Member States.

GCPEA, 유엔 체제와 우리의 협력자들은 주요한 유엔 결의안을 승인하고  현재 114개 회원국들의 승인을 받은 ‘안전한 학교 선언문’의 참여를 독려하는 것을 포함해 무력 갈등 속에서 안전한 교육을 만들기 위한 중요한 절차를 거쳤다. 

Yet, the International Day also serves as a reminder that we must do more.  This should start at the upcoming Transforming Education Summit, to be held at United Nations Headquarters on 16, 17 and 19 September 2022, with the announcement of new commitments to protect schools and universities, and their students and staff. We should then intensify our calls for greater endorse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afe Schools Declaration.

그러나, 세계교육의 날은  우리가 더 행동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곧 2022년 9월 16일, 17일, 19일 유엔본부에서 열리는 전환 교육 정상회의에서 시작해야 하며, 학교와 대학, 학생과 직원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약속을 발표해야 한다. 우리는 그리고 ‘안전한 학교 선언문’의 더 확실한 승인 및 이행을 위해 우리의 입장 표명을 강화해야한다.


Attacks on education and military use of schools and universities

교육에 대한 공격과 교육시설의 군사적 사용


The Global Coalition identified more than 5,000 reported attacks on education and cases of military use of schools and universities in 2020 and 2021, harming more than 9,000 students and educators in over 85 countries. Globally, attacks on education and the military use of schools and universities increased in 2020 and 2021 compared with the previous two years. Two thirds of the incidents were attacks on schools, with Mali,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nd Palestine most affected. The military occupation of schools and universities more than doubled. Girls and women were reportedly targeted in attacks on education because of their gender in 11 countries.

국제연맹은 2020년과 2021년 교육에 대한 공격과 교육현장의 군사적 이용의 사례가 5000건 이상이며,85개 이상 국가에서  9000명 이상의 학생과 교수자를 공격했다고 밝혔다. 세계적으로, 교육에 대한 공격과 교육현장의 군사적 이용은 지난 2년과 비교했을 때 2020년과 2021년 사이 증가했다. 발생한 사건들의 3분의 2는 학교에 대한 공격이었고, 말리, 콩고민주공화국, 팔레스타인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교육시설의 군사적 점유는 배로 늘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여성들은 11개국에서 그들의 성별때문에 교육에 대한 공격에서 타겟이 되었다. 

Damage to facilities from explosive weapons caused students and teachers to miss out on at least 249 hours of class between January 2019 and February 2021. These attacks and the resulting destruction translate into lost learning.

폭발물에 의한 시설 피해는 학생들과 교수자들에게 2019년 1월과 2021년 2월사이에 적어도 수업시간 249시간을 잃게 만들었다. 이런 공격과 파괴의 결과는 교육부족으로 이어졌다.

Attacks on education and the military use of schools have continued at troubling levels in 2022. As just one example, more than 2,400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been damaged or destroyed by bombings and shelling in Ukraine since the Russian invasion on 24 February 2022, according to the country’s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교육에 대한 공격과 교육현장의 군사적 이용은 2022년에 심각한 수준으로 이어졌다. 하나의 예시로, 우크라이나 교육과학부의 발표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2400개의 교육시설은 2022년 2월 24일 러시아 침략으로 인한 폭격과 포격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붕괴되었다,


Grave consequences for students

학생들에게 심각한 결과

Education is fundamental, even during war. Access to learning can give children and young people the knowledge and abilities needed to contribute to their communities and economies—and the skills to resolve disputes and rebuild after conflict. Beyond teaching, schools and universities can provide a safe space, give students routine and connect them to life-saving resources such as meals and mental-health services.

교육은 전쟁중이라도 필수적이다. 배움에 접근하는 것은 어린이들과 젊은이들에게 지식을 주고 그들의 공동체와 경제에 기여하고 갈등을 해결하며 갈등 이후 재건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할 수 있다. 가르침을 넘어, 학교와 대학은 안전한 장소를 제공하며, 학생들에게 일상을 제공하고 식량과 심리치료 서비스와 같은 안전 구호 물품을 준다.

Children in conflict- and crisis-affected areas are twice as likely to be out of school as those in other places. Attacks on education are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this deficit. 

갈등과 위험 영향 지역에 있는 어린이들은 다른 지역에 있는 아이들보다 학교 밖에 두배 이상 머무르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에 대한 공격은 이 결핍의 가장 지대한 원인이다.

In one example, a case study conducted by GCPEA and Palestine found that about a quarter of all schools in Gaza were damaged by air- and ground-launched explosives in May 2021. Damage to facilities from explosive weapons caused students and teachers to miss out on at least 249 hours of class between January 2019 and February 2021. These attacks and the resulting destruction translate into lost learning.

한 예로,  GCPEA와 팔레스타인이 행한 사례조사에서는 가자 지역에 있는 4분의 1정도의 학교들이 2021년 5월에 있었던 공중 및 지상 폭파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폭발물에 의한 시설 피해는 학생들과 교수자들에게 2019년 1월과 2021년 2월사이에 적어도 수업시간 249시간을 잃게 만들었다. 이런 공격과 파괴의 결과는 교육부족으로 이어졌다.

After attacks, students may not have a school or university to return to.  And when the educational facilities are repaired or families relocate to a new area, fear and trauma may prevent students from resuming their studies or otherwise interfere with their learning. In particular, girls and women are less likely to resume their education after an attack. Their families are more likely to keep them at home as a precautionary measure; even limited time away from education leaves women and girls vulnerable to child or forced marriage and other risks that inhibit their return.

공격 이후에, 학생들은 돌아갈 학교나 대학이 없다. 그리고 교육 시설이 고쳐지거나 새로운 곳에 자리를 잡는다 해도, 공격 이후에 생기는 두려움과 트라우마는 학생들이 그들의 배움을 미루거나 그들의 배움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 그들의 가족들은 그들의 가족들은 예방 차원에서 그들을 집에만 머물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교육에서 떨어져있는 제한된 시간은 여자들을 임신이나 강제 결혼 또는그들의 복귀를 방해하는 다른 위험에 취약하게 만든다.



The Kibumba Primary School in Kalemi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was burned down during communal conflicts that ravaged Tanganyika province. With the support of Education Cannot Wait, UNICEF is building six new classrooms and distributing school supplies to the students. 26 November 2021. © UNICEF/Josué Mulala

콩고민주공화국 칼레미에 있는 키붐바 초등학교는 탕가니카 지방을 황폐화시킨 공동체 분쟁 중에 불탔다. 기다릴 수 없는 교육의 지원으로, 유니세프는 6개의 새로운 교실을 짓고 학생들에게 학용품을 나누어주고 있다.


Progress through the Safe Schools Declaration and other actions

’안전 학교 선언문’을 통한 진보와 다른 행보들

The launch of the Safe Schools Declaration in 2015 was a crucial step towards preventing and mitigating the impact of attacks on education. The Declaration is a political commitment to protect students, educators, schools and universities during armed conflict. Governments that endorse the Declaration commit to using the Guidelines for Protecting Schools and Universities from Military Use during Armed Conflict, which provide concrete guidance to armed forces and non-State armed groups on restricting the use of schools for military purposes. The primary GCPEA recommendation for protecting education is for States to endorse the Declaration and implement the Guidelines.

2015년에 ‘안전 학교 선언문’의 착수는 교육에 대한 공격의 영향을 경감하고 예방하는 중요한 단계였다. 이 선언문은 학생들과 교수자, 학교와 대학을 군사적 갈등 상황에서 지킬수 있는 정치적 약속이다. 이 선언문을 지지하는 정부들은 군사적 무력과 비정부 무력 단체가 학교를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견고한 가이드라인인  <교육시설을 군사적 갈등 상황에 군사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을 지킬 것을 약속한다. 교육을 보호하기 위한 초기 GCPEA 권고안은 국가들이 선언문을 지지하고 지침을 이행할 수 있도록 만든다. 

Another key commitment under the Declaration is monitoring and reporting, for which GCPEA developed the Toolkit for Collecting and Analysing Data on Attacks on Education. The Toolkit provides guidance to governments, United Nations agencies, and development and humanitarian actors on gathering and analysing data to better understand, prevent and respond to attacks on education. With improved monitoring and analysis, attackers and types of attacks—such as arson, bombing, or looting—can be identified so that governments and schools can adopt prevention methods. Fine-grained data is also crucial for identifying the schools and universities in need of repair and designing catch-up classes for affected students.

선언문의 다른 약속은 GCPEA가 만든 <교육에 대한 공격 데이터 취합 및 분석을 위한 도구> 로 감시하고 지켜보는 것이다. 이 도구는 정부, 유엔 기관들, 발달 및 인도주의적 행위자들이 교육에 대한 공격을 더 잘 이해하고, 방지하고 대응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감시와 분석이 발전할수록, 공격하는 사람이나 방식이-방화ㅡ 폭격 또는 약탈-정부나 학교에서 예방 방법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인지되었다. 잘 정리된 데이터는 수리나 피해 학생들을 위한 보충수업이 필요한 학교와 대학을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The Transforming Education Summit offer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encourage greater protections for schools and universities during armed conflict.

교육혁신 정상회의는 군사적 갈등에서 교육시설 보호를 강화하는 것을 촉진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has also taken several important steps to protect education from attack. Among them is Council resolution 2601 (2021), which condemned attacks on schools, educational facilities and civilians connected with them, and urged Member States to develop measures to prevent and address attacks, including with domestic legal frameworks.

국제연합안전보장이사회는 교육을 공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여러 중요한 단계를 밟았다. 그중 하나가 바로 이사회 결의안 2601(2021)로, 학교나 교육관련 시설, 그리고 그와 연관된 시민들을 향한 공격을 비난하고, 회원국들이 국제 법체계를 포함해 공격을 막거나 대응할 수 잇는 방안을 만들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The upcoming Transforming Education Summit, which will take place on 16, 17 and 19 September 2022, is another significant step by the United Nations system. Governments will gather at the Summit to galvanize action towards achiev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4 on Quality Education, including by reimagining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educators and addressing the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learning.

2022년 9월 16, 17,19일에 진행될 다가오는 교육혁신 정상회의는 국제연합의 또다른 중요한 단계이다. 회의에 참석한 회원국들은 모든 학생과 교수자들을 위한 교육으로 재해석하고 코로나 19가 배움에 미친 영향을 대응하는 방안을 포함해 지속가능한발전목표 네번째인 교육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행동을 촉진할 것이다. 


Next steps: Summit commitments and increased Declaration endorsements

다음 단계: 정상회의 약속과 선언문 지지의 증가

The Transforming Education Summit offer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encourage greater protections for schools and universities during armed conflict. Governments and donors should include in their Summit pledges commitments to: (a) end attacks on education and the military use of schools and universities; (b) endorse and implement the Safe Schools Declaration; and (c) prioritize and finance programmes to safeguard schools and universities during armed conflict. 

교육혁신 정상회의는  군사적 갈등에서 교육시설 보호를 강화하는 것을 촉진하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정부와 기부자들은 그들의 회의 공약에 다음과 같은 것들을 넣어야한다.

(1)교육에 대한 공격과 학교나 대학의 군사적 이용을 멈출 것.


(2) 안전 학교 선언문을 지지하고 이행할 것.


(3) 학교나 대학을 군사적 갈등상황동안 안전하게 지키는 것을 우선시하고 이에 재정적 지원을 할 것.


To transform education, we need to protect education. The upcoming Summit can serve to remi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safe schools and universities are at the heart of inclusive, equitable education systems. And that is just the next step. Moving forward, we must all intensify our calls for more endorsements of the Safe Schools Declaration and for participating countries to deepen their work to translate commitments into action.

교육혁신을 위해선, 우리는 교육을 보호해야한다. 다가오는 정상회의는 포괄적으로 공평한 교육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국제적 공동체라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역할을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그저 다음 단계일 뿐이다. 앞으로 나아가면서, 우리는 ‘안전 학교 선언문’에 대한 더 많은 지지를 요구하는 우리의 주장을 더 강화하고 참여국들에게 그들의 공약을 현실로 이행하는 일을 심도깊게 진행할 것을 주장해야 한다. 

bottom of page